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단순 투자 vs 레버리지 투자, 어느 쪽이 더 수익성이 높을까?

by sova-0 2025. 3. 15.
반응형

위 아래로 움직이는 차트

투자 시장에서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레버리지 투자(Leverage Investment)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적은 자본으로 더 큰 규모의 투자를 가능하게 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지만, 반대로 손실도 더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단순 투자(Simple Investment)는 위험을 줄이면서 꾸준한 복리 효과를 기대하는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레버리지 투자와 단순 투자 중 어느 쪽이 더 수익성이 높을까요?

오늘은 레버리지의 양의 복리 효과와 음의 복리 효과, 그리고 단순 투자와 비교했을 때 어떤 전략이 더 유리한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레버리지 투자란? 기본 개념부터 이해하자

레버리지란, 외부 자금을 빌려서 더 큰 규모의 투자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식 시장에서는 레버리지 ETF, 마진 거래, 선물 투자 등을 통해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에서는 대출을 통해 더 큰 규모의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도 레버리지의 한 형태입니다.

레버리지를 활용하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손실도 확대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레버리지 투자와 단순 투자는 실제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 양의 복리 vs 음의 복리, 레버리지 투자의 함정

1) 양의 복리 효과: 상승장에서의 레버리지 투자

레버리지 투자가 성공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는 자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입니다.

예를 들어, 기초자산(주식)이 매일 2%씩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3배 레버리지 ETF를 보유한 투자자는 단순 투자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얻게 됩니다.

기간 기초자산(100 기준) 단순 투자 수익률 3배 레버리지 ETF 수익률
1일차 102 +2% +6%
2일차 104.04 +4.04% +12.36%
5일차 110.41 +10.41% +33.20%
10일차 121.90 +21.90% +76.39%

결과적으로 주식이 21.9% 상승했을 때, 레버리지 ETF는 76.39% 상승하여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2) 음의 복리 효과: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의 리스크

레버리지 ETF는 일일 변동성을 반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내릴 때마다 기초자산 대비 손실이 더 커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간 기초자산(100 기준) 2배 레버리지 ETF 수익률
1일차 (10% 상승) 110 +20%
2일차 (10% 하락) 99 -18%
3일차 (10% 상승) 108.9 +19.8%
4일차 (10% 하락) 98.01 -17.82%

결국 기초자산은 원래 가격에서 1.99% 하락했지만, 2배 레버리지 ETF는 -9.99%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즉,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기대했던 수익률보다 훨씬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단순 투자 vs 레버리지 투자, 장기적으로 더 유리한 것은?

1) 장기 투자에서는 단순 투자가 유리한 이유

  • 단순 투자는 복리 효과가 지속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
  • 레버리지 투자는 일일 변동성이 클 경우 오히려 손실이 누적될 수 있음
  • 장기 투자 시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과 괴리가 발생하며, 원래 기대했던 수익률을 내기 어려움

결국 이렇게 괴리율이 발생하는 이유는 위와 같습니다.

2) 단기 투자에서는 레버리지 투자가 유리

반면, 단기적으로 강한 상승장이 발생하는 경우, 레버리지 투자자는 단순 투자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레버리지 투자는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레버리지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

  • 이자 비용 고려 - 마진 거래, 신용 거래, 대출을 통한 레버리지 투자는 이자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는 불리함.
  • 시장 변동성이 클 경우, 음의 복리 효과로 손실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 레버리지 ETF는 구조적으로 장기 보유에 적합하지 않음 - 기초자산 대비 수익률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결론: 어떤 전략이 더 유리할까?

  • 📌 레버리지 투자는 단기적으로 상승장이 지속될 경우 강력한 복리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변동성이 높거나 장기적으로 보유하면 손실이 누적될 위험이 큽니다.
  • 📌 반면, 단순 투자는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결과적으로,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다르지만, 장기 투자자라면 레버리지보다는 단순 투자가 더 유리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음 글에서는 양의복리로 최대한의 효율을 내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공부용, 관점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고,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님을 인지해 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