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Victoria’s Secret, 실적은 좋았는데 왜 주가가 급락했을까?

by sova-0 2025. 4. 2.
반응형

'AI'로 만든 빅토리아 시크릿 속옷 모델 현장

서문

 

2025년 3월, Victoria’s Secret & Co. (티커: VSCO)는 실적 발표 이후 하루 만에 주가가 5.8% 하락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6개월간 약 160% 상승 랠리를 이어오던 주식이라는 점에서 충격이 컸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실적이 나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급락이 발생했을까요? 실적, 가이던스, 공매도 현황, 기관 수급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봅니다.


1. 실적은 오히려 '서프라이즈'였다

VSCO는 2024년 4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치를 모두 상회했습니다.

항목 예상치 실제 실적 평가
매출 $2.15B $2.18B 컨센서스 상회
EPS (조정) $2.30 $2.60 약 13% 서프라이즈

→ 매출과 이익 모두 '서프라이즈'였지만 주가는 하락, 이는 실적보다는 전망이 문제였음을 시사합니다.

2. 문제는 '가이던스'였다

2025년 1분기 가이던스가 투자자들의 기대를 무너뜨렸습니다.

매출 가이던스: $1.30B ~ $1.33B (예상치 $1.4B보다 낮음)

EPS 가이던스: 수치는 미공개, 단 "한 자릿수 범위" → 시장은 0.5~0.6달러로 추정

이는 향후 실적 둔화에 대한 우려로 해석되며 투자 심리를 냉각시켰습니다.

3. 기관 리포트: 줄줄이 목표가 하향

 

여러 주요 기관이 실적 발표 직후 목표가를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관 기존 목표가 하향 후 목표가 비고
Bank of America $35 $20 소비 둔화 우려
Telsey Advisory $40 $24 브랜드 약화, 전략 미흡
Morgan Stanley 유지 보수적 FY25에 대한 불확실성 반영

→ 이처럼 목표가 하향은 투자자들에게 매도 신호로 작용, 실제 일부 기관은 이 시점에 보유 지분을 축소했습니다.

4. 공매도 증가와 차익 실현 매물이 하락 가속

VSCO 주가 하락은 실적 발표만의 결과가 아닙니다.

공매도 잔고: 3월 기준 39.2% 급증

차익 실현: 6개월간 160% 상승 → 실적 발표 직전 매도 타이밍

→ 이 두 가지가 기술적 하락을 가속화시켰고, 추가 하락 우려까지 부추겼습니다.

5. CEO 멘트가 리스크로 작용

실적 발표 이후 CEO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올해 초 소비 둔화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우리는 이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경고 신호'로 받아들였고, 단기적 상승 기대감이 사라졌습니다.

6. 핵심 요약 – 이번 하락의 5가지 이유

원인 요약 설명
실적 가이던스 실망 기대보다 낮은 1분기 전망
목표가 하향 주요 기관의 부정적 리포트
공매도 증가 숏 포지션 급증
차익 실현 상승 랠리 후 매도세 확대
CEO의 경고성 발언 시장 심리 악화


결론: 실적이 아니라 '미래'가 문제였다

Victoria's Secret은 여전히 강력한 브랜드입니다. 그러나 지금 시장은 '현재보다 미래 성장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지금은 단기적으로 기대감이 꺾인 구간이며, 향후 실적 개선 여부에 따라 주가가 다시 반등할 수 있는지 여부가 갈릴 전망입니다.


📚 출처

https://www.cnbc.com/2025/03/28/victorias-secret-earnings-vsco-stock-drops.html

https://finance.yahoo.com/news/victorias-secret-vsco-earnings-q4-2024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stock/vsco


🤔 PS. 실적만 보면 빠질 이유가 없었던 VSCO, 결국 '미래의 불확실성'이 시장을 이겼습니다.

가이던스 하향, 기관 리포트, CEO의 경고성 발언이 맞물리며 기대감이 꺾인 타이밍에서 기술적 매도세까지 더해진 셈입니다.

숫자 자체보다는 "향후 몇 분기, 이 브랜드가 다시 성장 궤도로 올라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아직 시장이 확신을 못 주고 있다는 게 핵심 리스크죠.

다만, 브랜드 파워와 지난 몇 분기의 턴어라운드 흐름을 고려하면, 너무 과도한 우려 구간일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의 실적 발표, 소비 트렌드 회복 여부가 핵심 체크 포인트가 될 듯합니다.

저도 참 이럴 땐 혼란스럽네요…

 

⚠️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개인적인 분석과 정보 공유를 위한 것입니다.
투자 결정 시, 반드시 추가적인 자료 조사 및 전문가 상담을 거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