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작고 조용한 기술주는 시장에서 쉽게 주목받지 못하지만, 한 번의 실질적 성과로 판도가 바뀌곤 합니다. 최근 TOMI Environmental Solutions(NASDAQ: TOMZ)는 2025년 3월 새로운 수주 계약을 발표하며 이런 전형적인 반등 시나리오의 한 가운데 서 있습니다. 아직 EPS는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기술력과 영업 전략이 반영되기 시작한 지금이야말로 투자자들이 주목할 시점입니다.
1️⃣ 주요 수주 성과와 턴어라운드 시그널
2025년 3월 24일, TOMZ는 4.5억 원(약 $450,000)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대상은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의 한 유수 대학교로, 자사 기술인 SteraMist iHP CES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 수주 계약은 단순한 매출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시가총액이 약 1,800만 달러 수준인 TOMZ에게는 총 매출의 2.5%에 달하는 규모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존 고객인 보스턴 지역의 대형 교육 기관과는 업그레이드 및 확장 프로젝트를 논의 중입니다. 이미 매사추세츠의 또 다른 대학교와는 SteraPak 시스템을 판매 완료했으며, 현재까지 20개 이상의 생명공학·제약·연구기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즉, 단발성 매출이 아닌 영업 확장성과 반복 수익 구조로 이어질 수 있는 고객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2️⃣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 EPS를 반전시킬 수 있을까?
TOMZ의 핵심 기술은 Binary Ionization Technology® (BIT™) 플랫폼으로, DARPA(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와의 협력으로 개발된 iHP™(ionized Hydrogen Peroxide)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 과산화수소(H2O2) 대비 살균력과 확산력이 뛰어나 병원, 실험실, 제약 공장 등에서 특히 높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수주는 기존 경쟁사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기술 우위를 입증한 결과로, 앞으로 비슷한 수요가 보스턴 생명과학 산업 회복(2025년 예상)과 맞물려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기술 기반 성장성은 EPS(주당순이익) 반등의 직접적 전조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재무제표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재무 구조와 최근 주가 반응: 바닥은 지나갔다
최근 주가 흐름은 명확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랜 횡보장을 지나, 계약 발표 이후 0.35달러에서 0.48달러 수준으로 단기 급등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이번 수주 계약을 '전환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 재무 지표 요약 (2024년 연말 기준)
EPS: -0.03달러 (적자 지속)
유동자산: 400만 달러
유동부채: 200만 달러 → 유동비율 약 200% (안정적)
부채비율: 약 25% (건전함)
TOMZ는 규모는 작지만, 부채 리스크가 낮고 유동성이 충분한 상태입니다. 이는 적자 기업이라 하더라도 단기 리스크를 제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강점입니다.
결론
TOMZ는 여전히 EPS 적자 상태에 머물러 있지만, 이번 수주 계약과 이어지는 영업 확장이 기업가치 반등의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기술주가 아닌, 국방 기반 기술을 상용화하여 실제 매출로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형 기술주 중 주목할 만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급등 이후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하나, 중장기적으로는 반복 수익 기반 확보 및 EPS 양전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는 국면입니다. 실적 발표와 신규 수주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면, 적절한 진입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출처
https://finance.yahoo.com/quote/TOMZ?p=TOMZ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stock/tomz
🤔 PS. 최근TOMI Environmental Solutions(NASDAQ: TOMZ)가 발표한 미국 대학교 대상 수주 계약은 단기 매출 확대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반복 수익 기반을 다지는 실질적 전환점으로 해석됩니다.
아직 **EPS는 적자(-0.03달러)**를 기록 중이지만, 양호한 유동성과 낮은 부채비율 덕분에 단기 재무 리스크는 제한적입니다.
무엇보다 국방 기술 기반의 고유 살균 플랫폼이 실제 매출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 모멘텀보다 중장기적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TOMZ, 진짜 반등이 시작된 걸까요?
앞으로의 수주 흐름과 실적 발표를 예의주시하면서 기회를 엿보는 것도 하나의 전략입니다.
⚠️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개인적인 분석과 정보 공유를 위한 것입니다.
투자 결정 시, 반드시 추가적인 자료 조사 및 전문가 상담을 거치시길 바랍니다.